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0

(파이썬)파이썬 문자열을 리스트로/문자열 쪼개기 + 예제 문자열을 리스트로 1 . 공백이 없는 문자열을 리스트 형식으로 만들기 a="abcde" a=list(str(a)) print(a) #['a', 'b', 'c', 'd', 'e'] 2. 공백 있는 문자열을 리스트 형식으로 만들기 a="a b c d e" a=a.split() print(a) #['a', 'b', 'c', 'd', 'e'] 3. 문자 사이의 "/"를 기준으로, 리스트 형식으로 변환하기 a="a/b/c/d/e" a=a.split("/") print(a) #['a', 'b', 'c', 'd', 'e'] 4. for문으로 리스트 만들기 a="abcde" b=[] for i in a: a=b.append(i) print(b) ['a', 'b', 'c', 'd', 'e'] 예제 문제: 문자열에서 3번.. 2021. 6. 23.
(파이썬)알파벳 or 숫자 확인/isdigit(),isalpha() 알아보기 + 예제 알파벳인지 숫자인지 확인하기 리스트 안의 요소가 알파벳인지 아닌지, 숫자인지 아닌지 구분하는 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코드로 설명 a=["1","2","a","3","*"] # 숫자만 출력 for i in a: if i.isdigit(): print(i,end=" ")#한 줄 출력을 위해 end=" "을 붙여줌. #결과 # 1 2 3 #--------------------------------------------------- print() # 알파벳만 출력 for i in a: if i.isalpha(): print(i,end=" ") #결과 # a #--------------------------------------------------- print() # 숫자가 아닌 것들만 출력 for i in a.. 2021. 6. 22.
(파이썬) 문자열 리스트 합치기/파이썬 join()+예제 파이썬 문자열 리스트 합치기 # 문자열 이어붙이기 a=['1','2','3','4'] a=''.join(a) print(a) #결과 #1234 # 문자열 사이에'_'를 넣어 이어붙이기 a=['1','2','3','4'] a='_'.join(a) print(a) #결과 #1_2_3_4 # 문자열 사이에 " "(공백)을 넣어 이어붙이기 a=['1','2','3','4'] a=' '.join(a) print(a) #결과 #1 2 3 4 리스트안의 str형만 가능합니다. 리스트 안의 요소가 str이 아닌경우 에러가 납니다. a=[1,2,3,4] #요소가 str형이 아니므로 에러 발생 a=''.join(a) print(a) #line 2, in # a=''.join(a) #TypeError: sequence it.. 2021. 6. 21.
코딩테스트 준비 - 프로그래머스: 3진법 뒤집기(파이썬)/파이썬 진법 계산 프로그래머스: 3진법 뒤집기 문제풀러가기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8935?language=python3 코딩테스트 연습 - 3진법 뒤집기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을 3진법 상에서 앞뒤로 뒤집은 후, 이를 다시 10진법으로 표현한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n은 1 이상 100,000,000 이하인 자연수 programmers.co.kr 문제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을 3진법 상에서 앞뒤로 뒤집은 후, 이를 다시 10진법으로 표현한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입출력 예 n result 45 7 125 229 풀이 방법 1: 파이썬.. 2021. 6. 20.
(파이썬) 파이썬 정렬 총 정리/파이썬 다중 조건 정렬 파이썬 조건 정렬 오늘의 포스팅 요약 > 2차원 배열 정렬법 1. 다중 조건으로 정렬하는법 (* a[i][0]은 내림차순, a[i][1]은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법) 2. a[i][0] 기준으로 정렬 하는 법 3. a[i][1] 기준으로 정렬 하는 법 4. 정렬의 다양한 방법 및 예시 예시 1) 다중조건 정렬 : a[i][0] 기준 a=[[1,2],[3,4],[3,2],[5,1]] 일때, arr[i][0] 은 내림차순으로, arr[i][1]은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봅시다. a=[[1,2],[3,4],[3,2],[5,1]] a=sorted(a,key=lambda x:(-x[0],x[1])) #sorted의 key인자로 조건을 넣어줌 print(a) #[[5, 1], [3, 2], [3, 4], [1, 2]].. 2021.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