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 node.js가 설치되어 있으신분들은 3번부터 참고해주세요 ^^
<포스팅 요약>
- 방법 1: 원하는 폴더 이름으로 react 개발환경 세팅하기
- 방법 2: 원하는 폴더 안에서 react 개발환경 세팅하기
1. node.js다운
아래 링크에서 node.js를 다운 받는다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LTS or Current 둘다 상관 없음)
2. 명령창 or 터미널 열은후 npm이 다운됐는지 확인
window라면 단축키: "window키+R" 을 누른 후, 나온 실행창에 cmd입력.
mac이라면 단축키: "cmd+spaceBar"을 누른 후 나온 검색창에 터미널 입력.
열린 명령창 혹은 터미널에 "npm -v"입력하여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
npm -v
(v는 소문자 입니다.)
이렇게 버전 정보가 나오면 잘 설치된겁니다.
3. react 실행하기
방법1 : 원하는 폴더 이름으로 react초기 파일 생성하기(숙련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 해당 파일 경로를 못 찾을 수 있으므로 이 방법은 초보자에게 추천하지 않습니다:0
$ npx create-react-app 파일이름
$ cd 파일이름
$ npm start
<이미지로 상세설명>
1. 터미널을 연다.
(터미널이 어디있는지 모르시는 분들은, Visual Studio 터미널 이용하세요~
아래 이미지 설명 참고바랍니다.)
2. react 개발환경 세팅하기
터미널창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npx create-react-app 파일이름
그러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react 개발환경을 위한 파일들이 설치가 됩니다.
* 저는 test란 이름으로 파일을 생성하였습니다
3. react 개발환경이 세팅된 파일로 이동 후 실행하기
$ cd 파일이름
$ npm start
혹은 생성한 파일 오른쪽 클릭 후,
window사용자는 git bash here, mac사용자는 폴더에서 새로운 터미널 탭 열기 선택.
열린 터미널 창에서 npm start로 리액트 실행.
$ npm start
방법 2: 원하는 폴더 안에서 react 개발환경 세팅하기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 폴더 생성
- 생성한 폴더에 리액트 개발환경 세팅 ("npx create-react-app .")
- npm start
<이미지로 상세설명>
1. 원하는 위치에서 파일 생성하기
2. 해당 폴더오른쪽 마우스 클릭 후 터미널 창 열기
window사용자는 해당 폴더 오른쪽 마우스 클릭 후git bash here로 터미널 열기
3. 해당 폴더에 react 개발환경 세팅하기
$ npx create-react-app .
4. 설치 완료후 실행하기
$ npm start
위 명령어 입력 후 실행하면 끝!
4. 참고사이트
1. create-react-app 공식 문서 : https://create-react-app.dev/docs/getting-started
'웹 > (React)리액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리액트 커스텀 훅 custom hook 사용법+input 초기화 까지 - input (0) | 2022.09.24 |
---|---|
(React) 리액트 달력만들기 (초간단/쉬움) (0) | 2022.05.25 |
(React) 리액트 라우터 사용하여 고정 메뉴 만들기(react-router v6 2022.4 기준 최신버전) (0) | 2022.04.03 |
(React-Redux) 리액트 리덕스를 이용한 간단한 프로젝트 및 설명 (0) | 2021.09.14 |
(React) Immer에 대해서/Immer 사용법 (0) | 2021.08.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