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 설치 및 실행법
* 리액트 실행하는 방법이 변경되었습니다.
* 현재 포스팅 보다는 업데이트 된 아래 포스팅 참고바랍니다. (링크 걸어놓았습니다 :))
2022.05.05 - [웹/(React)리액트] - (React) 리액트 설치 및 실행법 상세하게 이미지로 설명 [2022.05.05 기준]
(React) 리액트 설치 및 실행법 상세하게 이미지로 설명 [2022.05.05 기준]
* 이미 node.js가 설치되어 있으신분들은 3번부터 참고해주세요 ^^ <포스팅 요약> 1.node.js 다운 (기존과 같음) 2. 설치가 잘되었는지 확인하기 3. react 실행하기 - 방법 1: 원하는 폴더 이름으로 react 개
eunhee-programming.tistory.com
포스팅 요약
1. 리액트 설치 방법
2. 리액트 실행 방법
리액트 설치 방법
1. node.js다운
아래 링크에서 node.js를 다운 받는다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LTS or Current 둘다 상관 없음)
2. 명령창 or 터미널 열은후 npm이 다운됐는지 확인
window라면 단축키: "window키+R" 을 누른 후, 나온 실행창에 cmd입력.
mac이라면 단축키: "cmd+spaceBar"을 누른 후 나온 검색창에 터미널 입력.
열린 명령창 혹은 터미널에 "npm -v"입력하여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
npm -v
(v는 소문자 입니다.)
이렇게 버전 정보가 나오면 잘 설치된겁니다.
3. create-react-app 설치
열린 명령창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npm install -g create-react-app
만약 위 명령어를 입력하고 에러가 뜬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sudo npm install create-react-app
비밀번호가 뜨면 비밀번호를 입력해준다.
4. create-react-app 설치 확인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앱이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create-react-app -V
(v는 대문자입니다.)
위 사진처럼 버전 정보가 나오면 설치가 잘 된겁니다.
5. 폴더에 개발환경 만들기
개발환경으로 만들고 싶은 폴더에 들어갑니다.
명령창 or 터미널에 "cd 파일경로"를 입력합니다.
cd 파일경로
(파일 경로를 모르겠다면, 위 사진과 같이 cd를 입력후 한칸 띄고
원하는 파일을 명령창 혹은 터미널에 끌어넣으면 자동으로 파일 경로가 입력됩니다.)
여기에 "create-react-app ."을 입력합니다 (뒤에 점이 붙음)
create-react-app .
설치 완료 후, 폴더 안에 아래 파일들이 생긴다.
리액트 실행 방법
1. 개발환경이 구축된 파일을 VScode에서 열기
위에서 create-react-app을 한 파일을 코드편집기로 열은다.
2. vscode터미널 창 열은 후 실행
위 사진에서 빨간 네모 박스 안의 새 터미널창 열기를 클릭하여
vscode내에서 터미널을 엽니다.
터미널에서 "npm run start"입력
3. 완료
이런 페이지가 나오면 성공적으로 개발환경이 세팅 된겁니다!!!
'웹 > (React)리액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리액트 state를 사용한 더하기 프로그램 만들기(초간단) (0) | 2021.08.18 |
---|---|
(React) 리액트 props, 컴포넌트에게 값 전달하기 (0) | 2021.08.18 |
(React)리액트 : 함수형 컴포넌트 VS 클래스형 컴포넌트 (0) | 2021.08.18 |
(React) 리액트 인라인 스타일/ React Inline style (0) | 2021.08.17 |
(React) 리액트 조건부 렌더링/삼항연산자, AND연산자, OR연산자 (0) | 2021.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