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ol)툴 사용법/(Git) 깃 사용법
(git) git 코드 복구하기 / commit 히스토리 보기/ commit 했던 시점으로 코드 복구하기
공부가싫다가도좋아
2022. 1. 16. 21:32
반응형
혼자 공부를 하다가 잘못된 git 사용법으로 코드를 통째로 날려먹었다 (진짜 노트북 부실뻔)
얻은 교훈은 commit 정말 중요하니까 틈틈히 해놓자...!!!!!!!!!!!!!!!
<포스팅 요약>
1. 왜 코드를 날렸는가(내 자신의 상황 설명)
2. 원하는 commit 시점으로 코드 복구하기
1. 왜 코드를 날렸는가(내 자신의 상황 설명)
내가 코드를 날려먹은 이유는 아래 명령어 때문이다.
git push origin +master <branch name>
위 코드는 강제 push 다 ^_^,
강제 push했더니 옛날에 짜놓은 코드의 뼈대만 남겨놓고 싹다 날라갔다.
stash로 백업해놓은 것도 없었고,
github에도 commit history가 싹다 없어졌다.
그래도 다행히 git에는 commit log가 남아있었다.
commit을 틈틈히 해놓길 정말 다행이다 진짜루....

2. 원하는 commit 시점으로 코드 복구하기
1.commit 히스토리 확인하기
$ git log
지금까지 commit했던 히스토리를 확인 할 수 있다.(아래 사진 참조)
2. 원하는 commit의 해시값 복사하여 이동
$ git checkout 60c8e4007d8d83a92dc801d672c8f60ff456ffc9
저는 12월 26일 23:36:49 시간대에 commit한 시점으로 되돌렸습니다.
3. 이동한 commit 내용 확인하고, 코드 다른 branch에 옮기기
$ git switch -c <new-branch-name>
나는 아래 사진과 같이 복구된 코드를 mybranch라는 새로운 branch를 만들어서 옮겨줬다.
위와 같이하면 무사히 복구된다....
commit을 꾸준히 안했다면 코드가 날라가도 복구하기 어려울듯..ㅠ_ㅠ
반응형